영문 계약서 번역 시 유의사항 – In witness whereof 구문

Copied!

By

Published

요즘엔 한국 기업들도 외국 바이어나 벤더 등과의 거래가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외국 거래처와 업무를 처리하는 입장에서 영문 계약서는 이제는 익숙한 문서가 되어가고 있어요.📝

협상력이 강한 외국 거래처는 종종 계약서를 영문으로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내부적으로도 영문계약서의 내용을 국문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적인 문서는 담당자가 번역할 수 있겠지만, 법률 관계를 다루는 영문 계약서 번역은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특히 영문계약서에는 일반적인 의미와는 다른 용어들이 많고, 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표현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영문 계약서번역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죠!


오늘은 헷갈리는 용어 중 하나인 In witness whereo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 witness whereof’는 ‘이에 대한 증거로‘와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영어 사전에는 “··· 의 입회 하에 서명중언의 증명문구, (attestation clause)의 서두에 쓰는 문구”라고 적혀 있지만, whereof와 같이 일상적인 영어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 표현이 많이 등장하기에, 계약서 번역시에 처음 보면 대체 어디서부터 해석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을 수 있죠.

이를 적용하여 위의 내용을 번역하여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IN WITNESS WHEREOF, I have hereunto set my hand and affixed my notarial seal this [·] day of [·], 20[·] at [·].”

🇰🇷 이에 대한 증거로, 본인은 본 20[·], [·]월 [·]일자로 [·]에서 서명하고 직인을 날인하였다.


이렇듯 어려우면서도 난해한 영문 계약서번역에는 결국 ‘경험’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실제 문서에서 이렇게 난해한 표현을 많이 쓰면서, 동시에 여러 계약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험을 가진 전문번역가는 많지 않기 때문에, 계약서와 같은 전문 번역에는 필연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기 마련입니다.​

베링AI는 법률번역의 전문가인 변호사들이 주축이 되어 개발한 리걸 전문 AI번역기로, 최고 성능의 AI엔진과 변호사들의 번역경험이 결합되어 타사의 범용 번역기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실제로, 베링AI로 초벌 번역을 진행한 후, 변호사들이 검수하는 베링AI+ 프리미엄 전문가 검수 서비스를 활용하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죠!​

현재 법무법인 세종, 광장, 특허법인 등을 포함한 🌎 국내외 130개 이상의 로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유명 로펌들이 믿고 선택한, 베링랩! 법률, 계약서, 특허 등 전문 분야 번역의 품질을 보장하고 타사 대비 😎​ 3배 빠르고, 40% 저렴한 가격을 제공합니다. 지금 바로 베링랩에 문의해보세요.

Share the Post:
Copied!

Related Posts